
선생님 | 김소리선생님 |
---|---|
학습단계 | 교과보충학습 |
강의교재 | EBS 수학의 자신감 5-2 (2016) |
강좌설명 |
여러분의 수학 자신감이 대폭발할 그날까지!
여러분의 수학 자신감 충전을 도와드립니다.
확실한 개념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문제 유여러분의 수학 자신감이 대폭발할 그날까지!
여러분의 수학 자신감 충전을 도와드립니다.
확실한 개념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문제 유여러분의 수학 자신감이 대폭발할 그날까지!
여러분의 수학 자신감 충전을 도와드립니다.
확실한 개념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문제 유
|
- 건너뛰기 링크 - 컨텐츠 메뉴 바로가기
- » 메뉴 바로가기
- » 본문으로 바로가기
중학프리미엄 중학프리미엄 강좌 전체보기 +
EBS 교재 강좌입니다.
강좌 소개
시는 시인의 마음이 담긴 노래입니다.
좋아하는 노래를 감상하듯이 우리 교과서에 실린 시를 감상할 수 있다면 좋겠지요.
시에 담긴 생각과 느낌과 깨달음과 아름다움을 만나면서 즐겁게 공부하다 보면 시를 이해하고 감상하는 능력이 생겨날 겁니다.
나아가 학교 시험은 물론 대학수학능력시험 문제도 풀 수 있는 능력과 자신감이 생길 겁니다.
시가 좋아지고 시 읽기가 즐거워지는 특별한 시간, 함께해요!
다운로드 클릭시 아무 반응이 없는 경우
[EBS 다운로더]를 설치하셔야 합니다.
다운 | 강의명 | 강의시간 | 교재 | 학습하기 |
---|---|---|---|---|
오리엔테이션
오리엔테이션
|
03분 | - | ||
01강 시의 표현 방식 - 개념 사전
![]() [제재 학습] ‘청노루’(박목월) 시상 전개, 표현 방식, 운율, 비유, 상징, 반어, 시적 장치, ‘청노루’(박목월) |
40분 |
10~11 |
||
02강 시의 표현 방식 - 시 읽기 (1)
![]() 표현 방식, 비유법, ‘떨어져도 튀는 공처럼’(정현종), ‘들길에 서서’(신석정) |
40분 |
12~14 16~17 |
||
03강 시의 표현 방식 - 시 읽기 (2)
![]() 표현 방식, 심상(이미지), 상징, ‘성탄제’(김종길), ‘어머니와 설날’(김종해) |
40분 |
18~20 22~23 |
||
04강 시의 표현 방식 - 시 읽기 (3)
![]() |
40분 |
24~26 28~29 |
||
05강 시의 표현 방식 - 시 읽기 (4)
![]() |
40분 |
30~32 34~35 |
||
06강 시의 표현 방식 - 시 읽기 (5)
![]() |
40분 |
36~38 40~41 |
||
07강 시의 표현 방식 – 수능 문제 풀이
![]() |
40분 |
15 21 27 33 39 |
||
08강 시의 화자 - 개념 사전
![]() [제재 학습] ‘유리창’(정지용) 시의 화자, 말하는 이, 청자, 화자의 정서, ‘유리창’(정지용), 역설 |
40분 |
44~45 |
||
09강 시의 화자 - 시 읽기 (1)
![]() |
40분 |
46~48 50~51 |
||
10강 시의 화자 - 시 읽기 (2)
![]() |
40분 |
52~54 57~59 |
||
11강 시의 화자 - 시 읽기 (3)
![]() |
39분 |
60~62 64~65 |
||
12강 시의 화자 - 시 읽기 (4)
![]() |
39분 |
66~68 70~71 |
||
13강 시의 화자 - 시 읽기 (5)
![]() |
39분 |
72~74 76~77 |
||
14강 시의 화자 – 수능 문제 풀이
![]() |
38분 |
49 55~56 63 69 75 |
||
15강 시와 사회·문화·역사적 상황 - 개념 사전
![]() [제재 학습] ‘고시 8’(정약용) 시와 사회․문화․역사적 상황, 창작 배경, 작가-작품-독자의 관계, 조선 후기, ‘고시 8’(정약용) |
39분 |
80~81 |
||
16강 시와 사회·문화·역사적 상황 - 시 읽기 (1)
![]() |
38분 |
82~84 86~87 |
||
17강 시와 사회·문화·역사적 상황 - 시 읽기 (2)
![]() |
39분 |
88~90 92~93 |
||
18강 시와 사회·문화·역사적 상황 - 시 읽기 (3)
![]() |
39분 |
94~96 98~99 |
||
19강 시와 사회·문화·역사적 상황 - 시 읽기 (4)
![]() |
38분 |
100~102 104~105 |
||
20강 시와 사회·문화·역사적 상황 - 시 읽기 (5)
![]() |
39분 |
106~108 110~111 |
||
21강 시와 사회·문화·역사적 상황 – 수능 문제 풀이
![]() |
38분 |
85 91 97 103 109 |
||
22강 시의 보편성과 특수성 - 개념 사전
![]() [제재 학습] ‘어져 내 일이야’(황진이) 시의 보편성과 특수성, 시에 담긴 가치, 시조, ‘어져 내 일이야’(황진이) |
39분 |
114~115 |
||
23강 시의 보편성과 특수성 - 시 읽기 (1)
![]() |
39분 |
116~118 120~123 |
||
24강 시의 보편성과 특수성 - 시 읽기 (2)
![]() |
39분 |
124~126 128~129 |
||
25강 시의 보편성과 특수성 - 시 읽기 (3)
![]() |
39분 |
130~132 134~137 |
||
26강 시의 보편성과 특수성 - 시 읽기 (4)
![]() |
38분 |
138~140 142~143 |
||
27강 시의 보편성과 특수성 - 시 읽기 (5)
![]() |
39분 |
144~146 148~149 |
||
28강 시의 보편성과 특수성 – 수능 문제 풀이
![]() |
38분 |
119 127 133 141 147 |
||
29강 시의 창작과 수용 - 개념 사전
![]() [제재 학습] ‘청산별곡’(작자 미상)과 ‘자본에 살어리랏다’(박남철) 시의 창작과 수용, 소통 맥락, 작품 해석의 관점, 내재적 관점, 외재적 관점, ‘청산별곡’(작자 미상), ‘자본에 살어리랏다’(박남철) |
39분 |
152~153 |
||
30강 시의 창작과 수용 - 시 읽기 (1)
![]() |
39분 |
154~156 158~159 |
||
31강 시의 창작과 수용 - 시 읽기 (2)
![]() |
39분 |
160~162 164~165 |
||
32강 시의 창작과 수용 - 시 읽기 (3)
![]() |
39분 |
166~168 170~171 |
||
33강 시의 창작과 수용 - 시 읽기 (4)
![]() |
39분 |
172~174 176~177 |
||
34강 시의 창작과 수용 - 시 읽기 (5)
![]() |
39분 |
178~180 182~183 |
||
35강 시의 창작과 수용 – 수능 문제 풀이
![]() |
40분 |
157 163 169 175 181 |
-
오리엔테이션
오리엔테이션 -
01강 시의 표현 방식 - 개념 사전
[제재 학습] ‘청노루’(박목월)
-
02강 시의 표현 방식 - 시 읽기 (1)
-
03강 시의 표현 방식 - 시 읽기 (2)
-
04강 시의 표현 방식 - 시 읽기 (3)
-
05강 시의 표현 방식 - 시 읽기 (4)
-
06강 시의 표현 방식 - 시 읽기 (5)
-
07강 시의 표현 방식 – 수능 문제 풀이
-
08강 시의 화자 - 개념 사전
[제재 학습] ‘유리창’(정지용)
-
09강 시의 화자 - 시 읽기 (1)
-
10강 시의 화자 - 시 읽기 (2)
-
11강 시의 화자 - 시 읽기 (3)
-
12강 시의 화자 - 시 읽기 (4)
-
13강 시의 화자 - 시 읽기 (5)
-
14강 시의 화자 – 수능 문제 풀이
-
15강 시와 사회·문화·역사적 상황 - 개념 사전
[제재 학습] ‘고시 8’(정약용)
-
16강 시와 사회·문화·역사적 상황 - 시 읽기 (1)
-
17강 시와 사회·문화·역사적 상황 - 시 읽기 (2)
-
18강 시와 사회·문화·역사적 상황 - 시 읽기 (3)
-
19강 시와 사회·문화·역사적 상황 - 시 읽기 (4)
-
20강 시와 사회·문화·역사적 상황 - 시 읽기 (5)
-
21강 시와 사회·문화·역사적 상황 – 수능 문제 풀이
-
22강 시의 보편성과 특수성 - 개념 사전
[제재 학습] ‘어져 내 일이야’(황진이)
-
23강 시의 보편성과 특수성 - 시 읽기 (1)
-
24강 시의 보편성과 특수성 - 시 읽기 (2)
-
25강 시의 보편성과 특수성 - 시 읽기 (3)
-
26강 시의 보편성과 특수성 - 시 읽기 (4)
-
27강 시의 보편성과 특수성 - 시 읽기 (5)
-
28강 시의 보편성과 특수성 – 수능 문제 풀이
-
29강 시의 창작과 수용 - 개념 사전
[제재 학습] ‘청산별곡’(작자 미상)과 ‘자본에 살어리랏다’(박남철)
-
30강 시의 창작과 수용 - 시 읽기 (1)
-
31강 시의 창작과 수용 - 시 읽기 (2)
-
32강 시의 창작과 수용 - 시 읽기 (3)
-
33강 시의 창작과 수용 - 시 읽기 (4)
-
34강 시의 창작과 수용 - 시 읽기 (5)
-
35강 시의 창작과 수용 – 수능 문제 풀이
다음 강의 뭐 봄? 👀
강좌소개
레이어 닫기맛보기 영상
레이어 닫기
사업자등록번호: 229-82-01343(한국교육방송공사사장 김유열)
시청자불만전담 helpdesk@ebs.co.kr
부가통신사업신고 : 10077
통신판매업신고 2017-고양일산동-1415 [사업자정보확인]
COPYRIGHT© EBS. ALL RIGHT RESERVED.

사장 | 김유열 |
---|---|
주소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한류월드로 281 (장항동 한국교육방송공사) |
연락처 |
1588-1580(대표전화/고객센터) helpdesk@ebs.co.kr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1343 |
통신 판매업 신고번호 | 2017-고양일산동-1415 [사업자정보확인] |
타이틀
레이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