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엔테이션
OT
OT
04분
-
01강 선사 문화와 고조선, 여러 나라의 성장
우리나라의 선사 문화와 청동기 문화
고조선의 건국과 변화
여러 나라의 성장
주먹도끼, 빗살무늬 토기, 고조선, 부여, 고구려
39분
8~19
02강 삼국의 성립과 발전, 삼국의 문화와 대외 교류
삼국과 가야의 성장과 발전
삼국의 고분 문화와 불교문화
삼국과 가야의 대외 교류
소수림왕, 근초고왕, 진흥왕, 굴식 돌방무덤, 금동 연가 7년명 여래 입상
38분
20~35
03강 신라의 삼국 통일과 발해의 건국
중국의 침략을 물리친 고구려,
삼국 통일 전쟁
남북국 시대의 성립
살수 대첩, 안시성 전투, 황산벌 전투, 대조영
38분
38~43
04강 남북국의 발전과 변화, 남북국의 문화와 대외 관계
통일 신라의 발전과 동요
발해의 발전과 후삼국의 성립
남북국의 문화와 대외 관계
신문왕, 해동성국, 후백제, 원효, 장보고
38분
44~59
05강 고려의 건국과 정치 변화
후삼국 통일과 체제 정비
고려의 통치 체제 정비
문벌 사회의 동요와 무신 정권의 수립
훈요 10조, 광종,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 무신 정변
38분
62~69
88~89
06강 고려의 대외 관계
고려와 거란의 충돌
고려의 여진 정벌과 금에 대한 사대
몽골의 침입과 고려의 항쟁
서희, 강감찬, 별무반, 김윤후, 삼별초
38분
70~75
07강 몽골의 간섭과 고려의 개혁, 고려의 생활과 문화
원의 간섭과 권문세족의 횡포
공민왕의 개혁 정치
홍건적과 왜구의 침입
고려인의 생활과 문화
권문세족, 공민왕, 신흥 무인 세력, 지눌, 삼국사기
38분
76~87
08강 통치 체제와 대외 관계
조선의 성립과 국가 기틀의 마련
유교 이념에 따른 통치 체제의 정비
조선 전기의 대외 관계
세종, 성종, 경국대전, 4군 6진
38분
92~98
120~121
09강 사림 세력과 정치 변화
사림 세력의 등장
훈구 세력과 사림 세력의 대립
사림 세력의 성장과 붕당의 형성
사화, 조광조, 서원, 붕당
38분
99~105
10강 문화의 발달과 사회 변화
유교 윤리의 보급과 사회 변화
훈민정음 창제와 과학 기술 발달
삼강행실도, 훈민정음,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측우기
38분
106~111
11강 왜란‧호란의 발발과 영향
임진왜란
광해군의 정책과 인조반정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임진왜란, 인조반정, 정묘호란, 병자호란
39분
112~119
12강 조선 후기의 정치 변동
조선 후기 통치 체제의 정비
붕당 정치의 전개와 변질
영조와 정조의 탕평 정치
세도 정치의 전개
대동법, 예송, 탕평비, 수원화성
39분
124~129
13강 사회 변화와 농민의 봉기
조선 후기 경제‧사회적 변화
조선 후기의 농민 봉기
모내기법, 삼정의 문란, 홍경래의 난, 임술 농민 봉기
38분
130~135
150~151
14강 학문과 예술의 새로운 경향, 생활과 문화의 새로운 양상
통신사와 연행사
서학의 수용과 실학의 발달
조선 후기 예술의 발달
조선 후기 생활의 변화
서민 문화의 발달
통신사, 실학, 대동여지도, 한글 소설, 김홍도
38분
136~149
15강 국민 국가의 수립, 자본주의와 사회 변화
문호 개방과 국민 국가 수립을 위한 노력
일제강점기 민족 운동의 전개
8‧15 광복과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
식민지 경제 체제로의 재편
대한민국의 경제 발전
을사늑약, 3‧1 운동, 청산리 전투, 국채 보상 운동, 전태일
38분
154~165
180~181
16강 민주주의의 발전, 평화 통일을 위한 노력
제헌 헌법과 4‧19 혁명
민주주의의 시련과 성장
6‧25 전쟁의 발발과 영향
평화 통일을 위한 노력
4‧19 혁명, 5‧18 민주화 운동, 6월 민주 항쟁, 6‧25 전쟁, 6‧15 남북 공동 선언
38분
166~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