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EBS 중학프리미엄

전체서비스

국내 유일의 고품격 뉴스를 시청하세요.

정보화시대에 발맞추어,
대한민국 모든 교육정보를 알려드리겠습니다.

게시물 검색

6,771개의 글

6,771개의 등록된 글이 있습니다.

  • 2026 대학수학능력시험 하루 앞으로…"보조배터리도 안 돼요"

    [EBS 뉴스12]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하루 앞두고, 전국 고사장에서 일제히 수험생 예비소집과 응원전이 시작됐습니다. 올해 수능 응시생은 지난해보다 3만 1천 5백여 명 늘어난 55만 4천 1백여 명으로 지난 2019학년 이후 7년 만에 가장 많습니다. 시험 당일엔 주민등록증이나 여권, 청소년증 등 신분증을 지참해 오전 8시 10분까지 입실을 마쳐야 하고, 모바일 신분증은 인정되지..

    서진석 기자 25.11.12
    [, 중등, 대학, 고교] 25.11.12
  • 어린이 유인 범죄 '최우선 출동'…통학로 안전 대폭 강화

    [EBS 뉴스12]최근 초등학생 대상 유괴 미수 사건이 잇따르자, 정부가 종합 대책을 내놨습니다. 신고 즉시 최우선 출동 체계를 가동하고, 처벌 수위도 높인다는 건데요. 아이들이 안심하고 다닐 수 있도록 통학로 안전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이상미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8월, 서울 서대문구에서 발생한 초등학생 유괴 미수 사건. 학부모들의 불안감이 커지자, 정부가 '어린이 등하굣길 안전..

    이상미 기자 25.11.12
    [, 유아·초등, 중등] 25.11.12
  • 형평성 위해 밤 12시까지 연장?…학원가 vs 교육계 충돌

    [EBS 뉴스12]서울시의회가 고등학생 학원 교습시간을 자정까지 늘리는 조례 개정을 추진하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 어제 이 문제를 놓고 토론회가 열렸는데요. 지역 간 형평성을 맞춰야 한다는 학원계의 주장과, 이미 과열된 사교육 경쟁을 더 부추길 거라는 우려가 맞섰습니다. 배아정 기자입니다. [리포트] 서울시의회에 지난달 말 발의된 서울 학원에 관한 조례 개정안. 핵심은 고등학생의 학원 ..

    배아정 기자 25.11.12
    [, 유아·초등, 중등, 고교] 25.11.12
  • 정부 "2035년까지 온실가스 53~61% 감축"

    [EBS 뉴스12]앞으로 10년 뒤 정부가 탄소 배출량을 지난 2018년 대비 최대 61%까지 줄이기로 했습니다. 탄소 중립이라는 세계적인 추세에 따라 우리도 계획을 세운 건데요. 산업계는 달성하기 어려운 수치라며 산업 경쟁력이 떨어질 것이라는 우려를 나타냈고, 반대로 환경 단체들은 기후위기 대응에는 턱없이 부족한 목표라는 입장입니다. 송성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정부는 오는 20..

    송성환 기자 25.11.11
    [, 유아·초등, 중등, 대학, 평생, 고교] 25.11.11
  • 서울 학교 식중독 80% '원인 불명'…조사·예산은 '뒷걸음'

    [EBS 뉴스12]아이들 먹을거리 문제, 늘 마음이 쓰이시죠. 그런데 최근 5년 동안 초중고등학교와 유치원, 어린이집에서 발생한 식중독 사고로 피해를 본 아이들이 서울에서만 1천 3백 명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문제는 대부분 정확한 원인을 찾지도 못한 채 종결됐다는 겁니다. 급식 안전을 위한 기본 조사조차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는데, 관련 예산은 해마다 줄고 있습니다. 배아정 기자..

    배아정 기자 25.11.11
    [, 유아·초등, 중등, 고교] 25.11.11
  • 무대의 뒤편, '교육의 무대'가 되다

    [EBS 뉴스12]관객들이 평소 쉽게 접하기 어려운 무대 뒤편을 둘러보는 '백스테이지 투어'. 요즘 공연계에서는 이제 낯설지 않은 풍경이 됐습니다. 학생들에게는 공연예술과 관련된 진로체험 현장으로도 유용한데요. 이 백스테이지 투어를 한 편의 공연으로 풀어낸 새로운 시도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황대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헤드셋을 끼고 무대로 들어서는 관객들. 배우를 꿈꾸는 소녀 도로시를 따..

    황대훈 기자 25.11.10
    [, 유아·초등, 중등, 평생, 고교] 25.11.10
  • 이주배경 고교생 자퇴율 역대 최고…"진로·직업 교육 절실"

    [EBS 뉴스12]올해 한국에서 학교를 다니는 이주배경 학생은 20만 명을 넘기며 역대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는데요. 하지만 이주배경 학생 가운데 고등학생의 자퇴율 역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며 학생들의 부적응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진석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올해 한국에서 학교를 다니는 이주배경 학생은 모두 20만 2천여 명. 역대 가장 많은 인원입니다. 동시에 이..

    서진석 기자 25.11.10
    [, 유아·초등, 중등, 평생, 고교] 25.11.10
  • [교사의 눈] "교사보다 AI" 상담하는 학생들…교육 현장 대책은?

    [EBS 뉴스]교사의 시각에서 한국 사회와 교육 현장을 바라보는 '교사의 눈'입니다. 최근 한 조사에서 학생들이 고민이 있을 때 상담실이나 교사보다 생성형 AI를 더 자주 찾는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학교가 정서적 안전망으로서 충분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뜻이기도 한데요. 교사와 상담교사의 역할은 어떻게 달라져야 할까요. 먼저 영상으로 보시죠. [VCR]"고민 있을 때 생성형 AI ..

    황대훈 기자 25.11.07
    [, 유아·초등, 중등, 고교] 25.11.07
  • "기후 대응 늦어 연간 수백만 명 사망"…랜싯 보고서 의미는?

    [EBS 뉴스]기후변화가 이제는 '기후위기'로 불리고 있는데요. 그 이유가 최근 데이터로 확인됐습니다. 국제 의학 학술지 랜싯(The Lancet)에 따르면, 지구 온난화와 대기오염으로 해마다 수백만 명이 목숨을 잃고 있습니다. 먼저, 영상 보고 오겠습니다. [VCR] 국제 의학 학술지 랜싯(The Lancet)'기후변화로 인한 전 세계적 피해' 보고서 발표 1990년대 이후 폭염 사망자 ..

    송성환 기자 25.11.07
    [, 유아·초등, 중등, 대학, 평생, 고교] 25.11.07
  • [청경체] 경제의 온도계 '금리'…금리가 오르면 우리 생활은?

    [EBS 뉴스]은행 창구 앞에 걸린 '예금 금리'와 '대출 금리' 안내판,한 번쯤 눈에 띄셨을 겁니다. 숫자 몇 퍼센트로 보이지만, 사실 이 '금리'는 소비와 투자, 물가까지 좌우하는 핵심 지표인데요. 청소년 경제 체력 기르기 프로젝트, 오늘은 '금리'의 의미와 영향에 대해 이야기 나눠봅니다. 한국은행의 마남진 교수와 함께 합니다. 교수님, 어서오세요. 네, 경제 뉴스에서 정말 자주 등장하는..

    송성환 기자 25.11.06
    [, 유아·초등, 중등, 대학, 평생, 고교] 25.11.06